이번 포스팅에서는 Z세대를 겨냥한 F&B 마케팅 성공 사례 3가지를 소개합니다. 애슐리 도파민점의 창의적인 인스타그램 챌린지, 본죽의 쇼핑백 콘테스트, 그리고 김천시의 지역 홍보를 위한 김밥 축제 기획까지, 모두 Z세대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내며 브랜드와 지역의 인지도를 높인 사례들입니다. 이들은 단순한 광고를 넘어 Z세대가 직접 참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식을 통해 큰 성과를 얻었습니다.
1. 작은 지점이 거대한 챌린지에 도전! ‘애슐리 도파민점’이 Z세대를 사로잡은 비결
핵심 포인트 요약
애슐리 도파민점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1달 안에 팔로워 수가 본계정을 추월하면 공식 계정을 차지한다’는 챌린지를 시작했습니다. 작은 지점의 계정이 22일 만에 6만 명의 팔로워를 모으며 성공을 거두었고, 누적 조회 수는 3,600만 회를 기록했습니다. Z세대가 챌린지에 참여하며 자연스럽게 홍보가 이루어졌습니다.
주요 성공 요인
애슐리 도파민점은 팔로워 수가 일정 기준에 도달할 때마다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며, 참여를 독려했습니다. 또한, 직원들이 직접 출연하는 재미있는 밈과 챌린지 영상들이 Z세대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챌린지 진행 중, 애슐리 본계정도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더 큰 관심을 끌어냈습니다.
결과
챌린지 성공 후 애슐리 도파민점이 본계정을 대체하게 되었고, 이와 함께 Z세대 사이에서 애슐리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했습니다. 본계정이 패배를 인정하는 유머러스한 공지문도 SNS에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2. 본죽 쇼핑백이 MZ세대의 데일리 백으로 변신한 이유
핵심 포인트 요약
본죽은 ‘2024 본죽 국민 쇼핑백 콘테스트’를 개최하여 소비자들이 쇼핑백 디자인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공모전에는 6,395건의 접수가 이루어졌고, 대국민 투표에 9,396명이 참여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주요 성공 요인
본죽 쇼핑백은 이미 튼튼한 품질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MZ세대 사이에서는 이 쇼핑백을 일상적인 가방으로 활용하는 문화가 퍼지면서 본죽은 이를 적극적으로 마케팅에 활용했습니다. 공모전과 대국민 투표 이벤트는 소비자들이 브랜드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결과
소비자 참여형 이벤트로 인해 본죽의 브랜드 이미지가 한층 더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쇼핑백 디자인 공모전은 커뮤니티에서도 큰 화제를 모았고, MZ세대의 참여도가 높아졌습니다. 이 결과로 대학교나 동아리 등에서 협업 제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3. 김천의 ‘김밥천국’ 오해를 활용한 기발한 지역 홍보 전략! ‘김천김밥축제’
핵심 포인트 요약
김천시는 ‘김밥천국’이라는 상호와의 혼동을 역이용하여 ‘김천김밥축제’를 기획했습니다. 김천의 농특산물을 활용한 김밥 요리 대회와 함께 다양한 이벤트가 열리며, Z세대에게 새로운 지역 축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요 성공 요인
지역명을 활용한 기발한 홍보 전략과 Z세대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화제를 모았습니다. 특히 김천시는 김천김밥축제를 통해 자신의 도시를 유머러스하게 알리며 SNS에서 큰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결과
지역 축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Z세대의 관심을 받았으며, 김천시는 이번 축제를 통해 새로운 관광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김천김밥축제는 앞으로도 Z세대의 참여를 유도하며 꾸준히 인기를 얻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무리
Z세대를 겨냥한 성공적인 F&B 마케팅 사례를 통해 다양한 플랫폼과 이벤트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애슐리의 챌린지, 본죽의 소비자 참여형 이벤트, 그리고 김천시의 지역 축제까지, 모두가 독창적인 방법으로 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사례들은 더 많은 브랜드에 영감을 줄 것입니다.
'하루 한hy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힙한 콜라보 마케팅 사례 2가지! Z세대 사로잡은 트렌디한 캠페인 (2) | 2024.10.04 |
---|---|
작지만 임팩트 있는 마케팅! 팝업스토어 성공 사례 3가지 (14) | 2024.10.03 |
요즘 흑백요리사 밈, 이거 모르면 대화에서 소외될지도! (1) | 2024.10.02 |
z세대 인기 아이템 리뷰: 앱, 인형, 동요, 지역 이벤트 (5) | 2024.09.29 |
Z세대 마음을 사로잡은 트렌드: 하츄핑과 트렌드 분석 (8) | 2024.09.29 |